IaaS(Infra as a Service)
서버, 스토리지 등 물리적인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.
소프트웨어는 직접 설치하고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DevOps 개발자 필요해 운영비가 증가하지만 자유도가 높다.
PaaS(Platform as a Service)
서버, 스토리지와 더불어 OS, CI/CD 툴 등을 함께 제공하여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.
DevOps 개발자가 따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운영비 절감 효과 기대할 수 있다.
단점으로는 미리 구조가 갖춰진 플랫폼이기 때문에 자유도가 떨어짐(애드온으로 변경 가능하긴 함)
heroku, redhat openshif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.
SaaS(Service as a Service)
완제품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.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필요 없이 그냥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.
구글 드라이브, MS Office, AWS, GCP 등을 예로 들 수 있다.
세 가지를 알아야 하는 이유
비즈니스 목적과 상황에 따라 운영비를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aYAuWwTHuvY&ab_channel=IT%EB%B8%94%EB%A3%A8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7TLUmbpU9qY&ab_channel=%ED%81%B0%EB%8F%8C%EC%9D%98%ED%84%B0%EC%A0%84
'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이브리드 클라우드 (0) | 2023.06.14 |
---|---|
Cloud Native (0) | 2023.06.14 |